top of page
2022년 2월 27일2분 분량
EP25_다양한 컨템포러리 식재 디자인 방법
Random planting 랜덤 플란팅이라는 개념을 처음 들으면 디자인 정의에 완전히 반하는 내용이기 때문에 이상하게 느껴진다. 야생의 초지가 우리 눈에는 무작위로 식재를 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는 놀라운 사실을 알게되는 데,...
234
2022년 2월 26일2분 분량
EP24_계절별 식재 디자인: 여름, 가을 그리고 겨울
초여름 - 장미의 속박에서 벗어난 대안들 구조가 빈약하고 형태가 불문명한 색덩어리처럼 보이는 초여름의 장미는 향기는 좋지만 잎 또한 매력적이지 않으므로 큰 비중을 차지하지 않게 신중하게 배치해야 한다. 여러해살이풀이나 새풀과의 조합도 쉽지 않다....
160
2022년 2월 21일2분 분량
EP23_계절별 식재 디자인: 우선, 봄 Spring
봄 식재 디자인: 정말 알뿌리Bulbs 말고는 없을까? 겨울을 지나 생명의 활기와 역동성이 돋보이는 시기이므로 잎이 펼쳐지고 싹이 돋아나는 순간을 색과 함께 연출할 수 있다. 날이 풀렸다가 추워지기를 반복하면서 봄이 몇 달간 지속되는 부산과...
169
2022년 1월 12일3분 분량
EP22_식물 조합 만들기 Feat. 부산의 기후
Any planting is crucially dependent on combinations 우선 아래의 개념을 짚고 넘어가자. 조합 combinations이란 이웃하고 있는 적어도 두가지 식물종을 말한다 (at least two plant...
175
2022년 1월 7일5분 분량
EP21_식물 조합(Plant Combinations): 식재 디자인의 핵심 β
이전 블러그에 이어... 3. 돌출형 Emergents: 줄기가 강하고 아래 쪽에 잎이 주로 나는 식물로 잎 위로 꽃무리들이 서서히 위로 드러나는 형 ('돌출형'이라는 개념이 머리속에 와 닿지 않아 구글링을 했는데 아주 괜챦은 비유를 찾아냈다....
240
2022년 1월 4일2분 분량
EP21_식물 조합(plant combinations): 식재 디자인의 핵심 α
효과적인 식물 조합을 만들기 위해서는 식물의 비주얼적인 특성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칼라도 비주얼적으로 중요하지만 이는 주로 꽃의 색에 관한 것이고 꽃은 비교적 수명이 짧으므로 기후에 상관없이 근본적으로는 더 오래지속되는 식물의 잎, 형태와 같은...
195
2022년 1월 3일1분 분량
EP20_식재 무드보드와 제곱미터당 식물개수
피트 아우돌프의 아래 스프레트시트에서 제안하는 제곱미터당 식물개수는 식재한 당해년도에 즉각적인 시각적 효과 즉 완성된 모습이길 바라는 상업시설 등의 공간에 적합한 수치다. 식물이 자리잡는 속도를 반영하였고 이는 식물 너비 개념과는 다르다고 한다....
74
2022년 1월 3일1분 분량
EP19_식물개수, 식물 배치...마침내 식재 hurrah!
우선, 도면의 축적은 보통 1:100으로 그린다. 여러해살이풀을 표현하기에 알맞고 디테일을 표현하기에도 적합한 스케일이다. 식물을 개별적으로 표현할 필요가 없는 대규모 식재의 경우는 더 작은 스케일을 사용할 수 있다. 하이라인의 그늘진 구간의...
123
2022년 1월 2일3분 분량
EP18_식물 층위의 이해와 디자인 응용
식물군락(Plant Communities)을 보고 있으면 어떨 때는 서로 다른 잎과 줄기들이 어떻게 어우러져 있는 지 쉽게 읽히는 반면 어떨 때는 마치 뒤엉킨 그물처럼 읽어내기가 쉽지 않은데, 식물 층위(Layer)라는 개념을 이해하면...
170
2021년 12월 26일1분 분량
EP17_분산식물, Scatter Plants
분산 식물은 식재 전반에 랜덤하게 흩어 심는 식물을 의미한다. 식재방법은, 1. 하나씩 개체(Individual)로 심고 심지어 아주 느슨한 형태로도 전혀 그룹을 이루지 않는다. 2. 바탕식재를 비롯하여 다양한 식물그룹 사이에 랜덤하게 흩어지게...
57
2021년 12월 26일1분 분량
EP16_Old + New Combination
이제 바탕식재과 블록식재 개념을 알았으니, 이 두 가지 접근법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대비시켜 어떤 모습을 연출할 수 있을 지 생각해 보자. 규모가 큰 곳에서는 보통 실패를 무릅쓰고 새로운 디자인 시도를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충분히 검증된 품종에...
37
2021년 12월 25일1분 분량
EP15_바탕식물과 중점식물 분석해 보기
블러그 EP13과 연계하여 아래 도면을 바탕식물과 중점식물 중심으로 분석해 보자. 참고: Planting: A New Perspective by Piet Oudolf & Noel Kingsbury, 식재디자인 새로운 정원을 꿈꾸며 (옮긴이 오세훈)
83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