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op of page


EP16_Old + New Combination
이제 바탕식재과 블록식재 개념을 알았으니, 이 두 가지 접근법의 차이를 효과적으로 대비시켜 어떤 모습을 연출할 수 있을 지 생각해 보자. 규모가 큰 곳에서는 보통 실패를 무릅쓰고 새로운 디자인 시도를 하기가 어렵기 때문에 충분히 검증된 품종에...
2021년 12월 26일1분 분량


EP10_중점식물1. 그룹심기와 반복
앞 블로그에서 살펴본 위계에 따른 3가지 식물분류 중 먼저 중점식물을 그룹지어 심는 방법을 자세히 들여다 보려고 한다. 우선 다년생식물의 한가지 종이나 품종을 그룹으로 모아 심는 방법을 먼저 언급해야 할 것이다 (Monoculture of One...
2021년 12월 15일2분 분량


EP8_19, 20, 21세기 식재디자인의 진화
19세기: 여름화단에 한해살이풀들을 기하학적, 규칙적인 패턴으로 복잡하게 식재, 19세기 빅토리아풍의 화단은 머리가 아플 정도로 색이 너무 많고 모두 다 존재감을 드려내려고 앞다투어 경쟁을 해서 눈의 피로도가 극도에 달한다. (가끔 우리나라 이른...
2021년 12월 10일2분 분량


EP3_구식이긴 하지만...절충한다면 어떨까?
단일종 블록 식재의 장점 1. 공적공간을 다루는 전문가들이 이 심플한 구성을 선호하는 데 시각적으로 복잡하지 않아 돋보인다고 한다. 2. 개인정원 혹은 사적인 공간을 여러해살이풀을 소재로 다소 복잡하게 디자인했다면 블록식재의 심플함은 이와 묘한...
2021년 12월 1일2분 분량
bottom of page